반응형 공부와 대학생활/유기화학8 [유기화학] 이성질체의 정의와 분류 Isomers 이성질체같은 분자구성이지만 구조가 다른 화합물들을 이성질체라고 한다. 이성질체는 구조 이성질체(constitutional isomer)와 입체이성질체(stereoisomer)로 구분된다. 구조이성질체(Constitutional isomer)원자가 연결 자체가 다른 이성질체이다. pentane과 isopentane이 예시이다.왼) Peatane 오) Isopentane 입체이성질체(Stereoisomer) 같은 원자간 결합순서로 연결되어 있지만 결합의 구조적인 배열이 다른 이성질체를 의미한다. 1. 형태 이성질체(conformational isomer)와 2. 배위 이성질체(configuration isomer)로 구분된다.1. 형태 이성질체 (conformation isomer)형태 .. 2025. 2. 25. [유기화학]산성도(Acidity)에 영향을 주는 요인 산성도 비교 방법 산이 양성자를 잘 내놓는다= 강산이다= 양성자가 떨어졌을 때의 form, 즉 짝염기가 안정하다. 짝염기가 안정할 수록 강산이다. = 짝염기는 약염기염기가 안정할수록 짝산이 강산이다. =염기는 약염기 다른말로 염기가 안정할수록 약염기다.약염기의 짝산은 강산강염기의 짝산은 약산약산의 짝염기는 강염기강산의 짝염기는 약염기 다시 정리하면 산이 양성자를 잘 내놓는다= 강산이다= 양성자가 떨어졌을 때의 form, 즉 짝염기가 안정하다. 산성도를 비교하기 위해서는 pKa를 비교하면된다. pKa에 영향을 주는 요소는 다음과 같다. 산성도에 영향을 주는 요소산성도는 기본적으로 수소가 떨어져나간 form 즉 짝염기의 안정성에 의해 결정된다. 짝염기가 안정할수록 강산이다. 이 안정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다음과 같이 정.. 2024. 11. 11. 산과 염기 산 해리 상수 Ka와 pH 산과 염기 proton : 전자를 잃은 수소이온산 acid : proton을 주는 species염기 base : proton을 받는 species짝산 conjugated acid : 염기가 양성자를 받고 나서의 형태짝염기 conjugated base: 산이 양성자를 주고 나서의 형태 Acidity : 얼마나 proton을 잘 잃는지Basicity :얼마나 proton을 잘 받는지강산이다 = proton을 잘 잃는다. 이것의 짝염기는 약염기.강염기다 = proton을 잘 받는다. 이것의 짝산은 약산 pKa 와 pH산성물질들의 산성도는 다르다.예를 들어, 강산은 물 녹였을 때, H+를 더 잘 내주기 때문에 정반응에 의한 생성물이 선호되는 상태로 평형에 도달한다. 상대적으로 약한 산의 경우에는 물에 녹.. 2024. 10. 30. 혼성화 오비탈과 공유결합 이중결합의 혼성화 -sp2 이중결합의 혼성화 CH2=CH2의 경우, 탄소는 세 개의 원자와 결합한다. 탄소와 탄소간의 결합은 이중결합이다. 탄소의 원자가 전자의 배치는 다음과 같다. s 오비탈의 전자쌍은 분리되어 다음과 같이 존재한다. (자세한 설명은 단일결합 참조https://drawnunu.tistory.com/91) 이 탄소가 3개의 원자와 결합을 하기 때문에 1개의 s 오비탈과 2개의 p 오비탈이 혼성화 —→ 3개의 sp2 오비탈이 형성 p오비탈 한개 남고 이것이 이중결합의 하나가 된다. 이를 파이본드라고 본다.즉 이중결합의 한 결합은 시그마본드, 한 결합은 파이본드이다. 즉 탄소 사이의 sp2 본드가 시그마 본드(하늘색), p 오비탈의 본드가 파이본드이다.(노란색) 탄소의 세 개의 sp2오비탈.. 2024. 10. 6. 원자가 결합 이론과 공유결합 / 단일결합의 혼성화 - sp3 1. 원자가 결합이론(valence bond theory) 두원자가 가까워지게 되면 특정 거리에서 공유결합을 형성한다.가장 최소화된 에너지 즉, 가장 안정적인 형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공유결합은 오비탈의 중첩에 의해 원자가 전자가 공유되어 형성된다. 이때 전자밀도가 두 원자 핵 사이에 집중되고 에너지가 낮아지고 안정성이 커진다. 공유결합은 두 원자 핵간 거리가 어느정도 유지될 때 일어난다. 이 거리는 공유결합의 bond length 라고 한다. 공유결합을 깨트리려면? 이 에너지(bond strength) 만큼의 에너지를 가해주어야 분리가 가능!따라서 bond strength는 bond dissociation energy 와 같다. 2. 단일결합에서의 혼성화(Hybridization) sp3ex) .. 2024. 7. 14. [유기화학] 원자 오비탈과 전자 배치 [원자 오비탈] 전자는 오비탈 내에 존재한다. 전자가 존재할 확률이 있는 부분을 3차원으로 나타낸 것을 원자오비탈 혹은 전자구름이라고 한다. s orbital⇒ s 오비탈의 경우, 구의 형태를 갖는다. 즉 전자의 90%이상이 이 오비탈 내에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 1s는 원자핵에 가장 가까우며 오비탈 주양자수가 커질수록(2s, 3s…) 오비탈 크기도 커진다. 1s 와 2s 오비탈을 비교했을 때, 두 번째 shell은 첫 번째 shell보다 핵으로부터 멀리 존재하고 이로 인해 2s의 구의 크기가 1s 보다 큰 것이다. ⇒ 오비탈 크기가 커진다는 것은 더 넓은 범위에 전자 존재 확률이 있는 것으로 전자 밀도는 더 낮아진다. ⇒ S 오비탈 사이에는 전자 존재 확률이 0인 node가 존재한다. p orb.. 2024. 6. 17. 이전 1 2 다음 반응형